1. 기업 개요 및 역사
항목내용
회사명 | 네이처셀 (Nature Cell) |
종목 코드 | 007390.KQ |
설립일 | 1981년 7월 10일 |
대표이사 | 라정찬 |
본사 소재 | 서울특별시 강서구 |
상장 시장 | KOSDAQ |
업종 | 바이오/줄기세포치료제/화장품/식품 |
1-1. 창립 초기
- 원래는 포장재 회사(그린케미칼)로 출발했으나, 2000년대 이후 바이오 사업 진출
- 라정찬 박사를 중심으로 줄기세포 치료제를 핵심 사업으로 전환
1-2. 현재 사업 포트폴리오
-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(조인트스템 등)
- 화장품/건강기능식품 유통 및 생산
- 줄기세포 치료 병원 운영 (라이프센터)
2. 주요 사업 및 기술 플랫폼
2-1. 줄기세포 치료제
대표 치료제: 조인트스템
- 골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
-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관절 내 직접 주입
- 국내 임상 3상 완료 (2022)
- 식약처 조건부허가 신청 → 아직 미승인 상태
그 외 연구 파이프라인
- 아스트로스템: 알츠하이머 치료제
- 뉴로스템: 척수손상 재생 치료제
- 스템수: 줄기세포 추출 및 보관 서비스
2-2. 화장품 및 식품
- 자회사 알바이오, 알바셀, 알바텍 등과 연계
-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(셀루메드 라인)
- 기능성 건강식품 판매
2-3. 의료 서비스
- 줄기세포 라이프센터 운영 (서울·부산·LA 등)
- 치료 및 상담 병행, 일부 제품 상용화 유도
3. 재무 현황 및 실적 분석
항목20202021202220232024(E)
매출액 | 311억 | 369억 | 423억 | 500억↑ | 550억 내외 |
영업이익 | -99억 | -80억 | -63억 | -50억 | -40억 예상 |
순이익 | -108억 | -87억 | -76억 | -52억 | -35억 수준 |
- 바이오 기업의 고질적인 적자구조 지속
- 줄기세포 치료제의 식약처 승인 전까지는 상업화 지연
- 화장품/식품 부문은 매출 꾸준하지만 규모는 작음
4. 주가 흐름 및 기술적 분석
4-1. 주요 시세 흐름
시기주가
2017~2018 | 5,000 → 23,000원 (줄기세포 테마 상승기) |
2019 | 라정찬 대표 검찰 수사 → 급락 |
2020~2022 | 박스권 5,000~8,000원 등락 |
2023~2024 | 조건부허가 기대감으로 12,000원까지 상승 후 다시 조정 |
2025년 현재 | 7,000~8,000원 박스권 횡보 |
4-2. 기술적 분석 포인트
- 60일선 지지/저항 전환 중
- 주봉상 장기 추세선 하단 도달 → 기술적 반등 가능성
- RSI 45~50 수준, 모멘텀은 약함
- 주요 지지선: 6,500원 / 주요 저항선: 8,800원
5. 수급 분석
투자 주체수급 동향
개인 | 거래량 대부분 차지, 단기 트레이딩 중심 |
기관 | 바이오 테마 집중 시 단기 유입 후 이탈 |
외국인 | 소극적이나, 2024년 초 일부 매집 포착 |
- 개인 주도형 종목
- 테마/뉴스에 민감한 반응
6. 이슈 및 뉴스 정리
6-1. 조인트스템 조건부허가 불발 (2022년)
- 식약처는 "효과 입증 불충분" 판단
- 이후 보완 자료 제출로 재도전 중
6-2. 라정찬 대표 이슈
- 과거 주가조작 혐의로 수사 및 재판 → 1심 무죄, 항소 중
- 리더십 신뢰성 회복 필요
6-3. 줄기세포 라이프센터 해외 확장
- LA 센터 개소 및 미국 시장 진출 모색
- 해외 진출 시 실적 개선 기대감
7. 산업 트렌드 및 경쟁사 비교
7-1. 줄기세포 시장 동향
- 글로벌 줄기세포 치료 시장: 2024년 기준 110억 달러 → 2030년까지 250억 달러 이상 전망
- 고령화 → 퇴행성 질환 치료 수요 증가
- 한국은 규제 중심이나, 조건부 허가제도 도입 후 분위기 전환
7-2. 경쟁사 비교
기업파이프라인시가총액특징
네이처셀 | 조인트스템 등 | 약 7,000억 | 조건부허가 대기 중 |
파미셀 | 심근경색 치료제 | 6,000억 | 국내 최초 줄기세포치료제 승인 |
차바이오텍 | 면역세포치료제 | 1.2조 | 글로벌 임상 진행 |
메디포스트 | 무릎관절염 치료제 | 8,000억 | 카티스템 상업화 경험 |
8. 리스크 요인
① 줄기세포 치료제 미승인 리스크
- 조건부 허가 실패 시 주가 급락 가능성
② 대표이사 리스크
- 라정찬 대표에 대한 논란 및 재판 진행
③ 실적 부진
- 줄기세포 외 부문에서의 실적 개선 미미
④ 희석 가능성
-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 발행 이력 → 주주가치 희석 우려
9.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
구분내용
핵심 모멘텀 | 조인트스템 조건부 허가 여부 (2025년 예상) |
중장기 전략 | 미국 진출 본격화 + 파생 파이프라인 확보 |
단기 전략 | 기술적 반등 시 단기 매매 가능성 |
적정 주가 | 보수: 6,000원 / 중립: 9,000원 / 낙관: 15,000원 |
10. 종합 결론
항목내용
투자 스타일 | 고위험/고수익형 |
추천 접근 | 뉴스 및 임상 일정 중심 단기 매매 또는 분할매수 |
주가 향방 결정 요인 | 조건부 허가 승인 여부, 대표 리스크, 해외 진출 성공 여부 |
종합 평가 | 바이오 테마 중 트리거에 민감한 종목, 실적보단 심리로 움직임 |
'[아저씨의] 시사,경제의 대한 생각과 정보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더불어민주당 대표 "이재명 관련주" 정리 (0) | 2025.04.24 |
---|---|
KOSDAQ 포바이포 (389140) 투자전략 (2) | 2025.04.22 |
KOSDAQ 신라젠 (215600) 투자전략 (2) | 2025.04.22 |
KOSPI LG에너지솔루션 (373220) 투자전략 (0) | 2025.04.22 |
KOSDAQ 이엠텍 (091120) 투자전략 (4) | 2025.04.22 |